구축환경
Ubuntu 12.04LTS
Eclipse INDIGO
SVN 설치
우분투에서 SVN을 설치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.
sudo apt-get install subversion
설치 끝!
자! 그럼 SVN이 사용할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만들어야한다.
원하는 위치에
mkdir svn-repos
폴더 만들었다...
폴더도 만들었으니 SVN에게 해당 폴더를 저장소로 이용하라고 명령을 내려야 한다.
#일반 파일시스템으로 생성
svnadmin create --fs-type fsfs {해당폴더 경로}/svn-repos
#bdb시스템으로 생성
svnadmin create --fs-type bdb {해당폴더 경로}/svn-repos
※subversion 1.2 부터 fsfs 를 기본으로 합니다. bdb 에 문제가 많아서, fsfs 를 권장하는 분위기더라고요.
ex > 폴더를 /home/user/svn-repos 로 생성하였다면
svnadmin create --fs-type bdb /home/user/svn-repos
끝!!
외부에서 접속할수 있도록 하기
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.
아파치를 이용하거나, svn에서 제공하는 svnserve를 이용하거나..
편하게 svnserve를 이용하자..
svnserve -d -r /home/user/svn-repos
-d 는 데몬으로 사용하겠다는 뜻이고
-r 은 다음 경로를 루트 경로로 사용하겠다는 것!
서버는 구동하였고..
svn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추가하자.
cd /home/user/svn-repos/conf
svn 설정 파일들이 있는 폴더에서 두가지 파일을 건드려 줘야한다.
먼저
svnserve.conf 파일을 vi나 기타 등등 에디터로 열어서
아래 부분을 찾아 주석을 제거해 줍니다.
[general]
anon-access = none
auth-access = write
password-db = passwd
anon-access는 손님이 들어왔을 때의 경우 이다.
처음에는 read라고 설정 되어 있지만, none 이라고 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.
auth-access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들어왔을 경우 이다.
write라고 하여 읽기, 쓰기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한다.
password-db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파일명을 적는다.
저장.
다음으로
passwd 파일을 편집한다.
[users]
# harry = harryssecret
# sally = sallyssecret
처음엔 위와같이 샘플 달랑 써있을텐데..
[users]
svnuser = qwe123
이런식으로
아이디 = 비밀번호
로 사용자를 추가하여 준다.
whitespace에 주의하자.
svnserve는 재부팅을 하지 않아도 변경사항이 잘 적용된다.
이제 이클립스와 연동하는 것만 남았다.